Surprise Me!

[아는기자]‘카눈’ 동쪽은 비·남쪽은 바람…지역 따라 다른 대비법

2023-08-09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번에는 아는기자에서 태풍 카눈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 <br> <br>문화스포츠부 조현선 기자 나왔습니다. <br><br>[질문1] 태풍 카눈이 정면으로 오고 있습니다. 언제 상륙입니까? <br><br>네, 내일 아침입니다. <br> <br>예상 경로부터 짚어보면요. <br> <br>지금 카눈은 일본 규슈 서해상에서 천천히 북상 중인데요. <br> <br>내일 아침 9시 정도면 경남 사천 부근에 상륙할 전망입니다. <br> <br>한낮 3시엔 청주를 지나 이후 밤 9시쯤 서울 부근까지 올라오고요. <br> <br>밤 11시 전후로는 서울을 통과하겠습니다. <br> <br>이후 새벽에 북한 평양 인근까지 올라간 뒤 토요일 새벽 태풍의 생명이 끝나게 됩니다.<br> <br>[질문2] 우리나라 전체가 영향권인데 특히 비바람이 더 심한 곳이 있을까요? <br><br>이번 태풍은 비도 바람도 강합니다. <br> <br>우리나라를 크게 나눠서 보면 비는 동서에서 동쪽이, 바람은 남북 중 남쪽이 더 거세다고 보시면 됩니다. <br><br>비를 먼저 보면 동쪽은 지형적인 영향까지 있어 강원 영동엔 시간당 100mm의 '극한 호우'급 폭우가 한 번에 쏟아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바람은 남쪽지역을 중심으로 최대 초속 40m까지 분다는 건데요. <br> <br>분명한 건, 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거지 태풍의 반경이 워낙 크고 한반도 전체가 영향권이기 때문에 서쪽의 비도, 북쪽의 바람도 결코 약한 수준이 아닙니다.<br> <br>[질문3] 그럼 이 비바람이 언제 제일 강한 건가요? <br><br>고비 시점은 태풍의 이동경로와 같다고 보시면 제일 쉽습니다. <br> <br>태풍 카눈이 남해안에서 거의 직선으로 서울까지 치고 올라오는 거잖아요. <br> <br>이런 식으로 오늘은 제주도와 남해안, 내일 새벽부터 모레까지는 남부 내륙과 충청도선, 내일 오전부터는 수도권과 강원도가 비바람의 최대 고비가 되겠습니다.<br> <br>[질문4] 카눈은 경로도 계속 오락가락했고 일반 태풍때와는 확실히 달랐죠? <br><br>네, 역대 없었던 태풍입니다. <br> <br>1977년부터 올해까지 남해안에 상륙한 과거 태풍들인데요. <br> <br>딱 봐도 어디 하나 이번처럼 아래서 위로 직진으로 올라온 태풍은 없습니다. <br> <br>유일한, 이례적인 건 분명합니다. <br> <br>그만큼 변동성도 아직 남았습니다.<br> <br>화면에 뱅뱅돌고 있는 큰 원, 태풍의 눈 보이시죠. <br> <br>간격이 130km로 특별히 더 큰 건 아니지만 상륙할 위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 상륙 지역인 통영 외에도 주변 여수, 부산 등도 후보군이 됩니다.<br> <br>[질문4-1] 속도가 느린 것도 문제죠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내일 아침 우리나라에 들어 왔을 때 강하고 느린 태풍이란 게 큰 겁니다. <br> <br>통상 이쯤되면 태풍 속도가 30km 정도가 되어야 하거든요. <br> <br>밑에서부터 많은 에너지를 쏟아낸 뒤 훅 빠져야 피해가 덜하게 되는데요. <br> <br>20km 정도로 성인이 자전거 타는 속도에 거센 비바람을 머금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본을 넘은 뒤 바다에서 에너지가 충전됐기 때문입니다.<br> <br>[질문5] 지역마다 대비도 달라야겠어요. <br><br>해안가와 산지로 나눴습니다. <br> <br>태풍이 오기 전 오늘 준비해주시면 좋고요. <br> <br>먼저 평소에도 바람이 센 해안가는, 해안 도로 접근은 물론 해변가에 차를 세우셨다면 미리 빼놔야 합니다. <br> <br>산간은 겨울에 같은 1cm의 눈이어도 서울에 내릴 때와 산간일 때 여파가 다르잖아요. <br> <br>이처럼 원주, 공주, 김천 같은 내륙 산간에서는 오래 머무는 태풍 때문에 피해가 유독 클 수 있다는 게 전문가들의 조언입니다. <br> <br>우선 지난 달 폭우로 이미 산사태가 발생해 지면도 배수도 정상으로 돌아오지 못한 곳이 많습니다. <br> <br>2차 산사태 가능성과 주변에서 산사태가 일어났었다면, 그리고 야산 밑에 재래식 주택에 계신다면 이틀 전에, 오늘부터 다른 곳으로 선제 대피하는 게 가장 시급니다. <br> <br>매번 반복해도 과하지 않습니다.<br> <br>느리고 센 태풍이 우리나라 지상을 뚫고 가는 만큼 심각성을 인지하고 미리미리 대비하셔야 합니다. <br> <br>한반도로 접근 중인 태풍 카눈과 관련해선 한반도에 가장 먼저 도착하는 제주 현지를 잠시 후 다시 한 번 연결하겠습니다.<br> <br>문화스포츠부 조현선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현선 기자 chs0721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